현대 사회에서 가정의 모습
- raymartjaycanoy
- Jun 7, 2020
- 1 min read
현대 사회에서는 세월이 진짜로 쏜살같다. 자기 자신이 잠시 눈을 붙인 줄만 알았는데 눈을 똑바로 뜬 후에 벌써 변화된 사회에 눈뜨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변화된 것 중에 전형적인 변화의 하나는 바로 가정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옛날에는 흔히 볼 수 있는 가정의 모습은 대가족이라는 것이었다. 대가족의 특징은 한 집에서 조부모부터 부부와 미혼인 자녀, 결혼한 자녀 및 손주까지 함께 살고 있다는 데에 있다. 대가족은 어떤 문제가 생기면 도와주는 사람이 많다는 장점이 있는가 하면, 어떤 일을 결정해야 하면 가장이라는 남성의 결정을 따른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당시 여성들의 맡은 일은 집안일만이었다.
그런데 초기 자본주의에는 핵가족이라는 가정은 사회의 가장 재정적으로 안정된 혈연공동체가 됐다. 그래서 전통적인 대가족의 대부분이 핵가족으로 변화됐다. 핵가족이야말로 부부와 미혼인 자녀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한 집에서 가족 구성원의 수가 적음을 비롯해서 다양한 경제와 관련된 이유 때문에 현대인들은 가정을 핵가족형태로 이루게 됐다. 게다가 결정이 필요할 때에 핵가족 구성원 모두 서로의 의견이 중요하다고 해서 결정하기가 대가족에 비해 쉽다는 장점도 있다. 그런가 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면 도와주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단점이 있다.
현대 사회를 눈여겨보면 가정 경제나 자녀 교육에서 여성들은 남성들과 같이 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가정 경제나 자녀 교육에 돈을 벌고자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일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이라는 가족을 흔히 볼 수가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는 이런 가정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동거 가족, 동성결혼한 가족과 다양한 현대 가정의 모습도 있다. 따라서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 가정의 모습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변화될 수도 있다.
Comments